|
|
초·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데이터를 활용한
제2회 우수논문 공모전 실시 계획 | |
|
|
변경사항 |
|
| |
| |||
| ‣ 초・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제2회 우수논문 공모전 ‘연구계획서’ 접수기간 연장 - (당초) ’20.4.9.(화)~5.22.(금) → (변경) ’20.4.9.(화)~7.31.(금) |
Ⅰ. 추진 개요 |
□ 추진배경
ㅇ 초·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데이터 공개*를 효과적으로 홍보하고, 진로교육 정책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제고
* 사전접수자에 한해 메일로 ’16~’19 진로교육 현황조사 마이크로데이터(원자료에서 입력오류 등을 제거한 기초자료)를 제공하며, 추후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포털에 탑재 추진
ㅇ 국가승인통계의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고 교육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한 다양한 정책 발굴을 통해 진로교육 정책의 현장성 강화
□ 사업개요
ㅇ (사업명) 진로교육 현황조사* 데이터 활용 제2회 우수논문 공모전
* 국가승인통계인 초·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(’16~’19) 데이터만 공개(대학조사는 제외)
ㅇ (추진근거) 「진로교육법」제6조(진로교육 현황조사)
※「진로교육법」 제6조(진로교육 현황조사) ① 교육부장관은 진로교육 정책수립을 위하여 관련 현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여야 한다. |
ㅇ (주최/주관) 교육부 / 한국직업능력개발원
ㅇ (사업기간) ’20. 4월 ~ 12월
Ⅱ. 세부추진 내용 |
□ 공모전 세부계획
ㅇ (논문주제) 진로교육 현황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진로교육 실태분석이나 정책 제안 등 자유주제 (붙임1의 예시 참고)
※ 커리어넷 등에 공시된 진로교육 현황조사 데이터를 반드시 활용하되, 기타 관련 자료 활용 가능함(기타 자료 활용 시, 출처 기재 필수)
ㅇ (참가자격) 진로교육에 관심 있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개인 또는 단체(최대 3명) 형태로 참여 가능
※ 학술전문가(대학교수, 박사학위 소지자, 연구기관 연구자), 대학원생, 교원·교육전문직, 관심 있는 일반인
ㅇ (참가분야) 연구논문
※ A4 10페이지 이상, 20페이지 이내로 작성
ㅇ (참가방법) 연구계획서 및 논문을 첨부된 양식에 따라 작성하여 이메일 제출
- (제출처)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기희 (assopaper@krivet.re.kr, 044-415-3515)
※ 사전접수기간에 연구계획서를 제출한 자에 한하여 진로교육 현황조사 마이크로데이터(붙임2 참조)를 이메일로 제공하고 이후 논문 제출이 가능함
ㅇ (홍보) 온라인* 활용, 공문 발송(대학, 시·도교육청, 유관 학술기관 등)
* 교육부, 진로정보망(커리어넷), 진로교육학회, 교사 연구회 등
□ 심사 및 시상계획
ㅇ (심사) 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객관적이고 타당한 심사기준 마련
- (심사기준) 주제의 적절성·독창성(15점), 연구내용의 타당성(30점), 연구결과의 활용성(30점), 진로교육 현황조사 데이터와의 연계성(20점), 작성양식의 충실성(5점)
※ 영역별 합산 100점 만점으로 고득점 순으로 선정
ㅇ (시상 등) 교육부장관상 3점,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상 4점 선정·시상 및 상금을 지급하고, 우수논문은 온라인으로 배포 예정
구 분 | 시상(점) | 상금 |
최우수상 | 교육부 장관상(1) | 각 150만원 |
우수상 | 교육부 장관상(2) | 각 100만원 |
장려상 |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장상(4) | 각 50만원 |
※ 접수 후, 내용 및 수준 등에 따라 시상부문 및 시상자 수 등 변동 가능
※ 타 학술지나 공모전 등에 미발표된 논문이어야 하며, 표절·모방 시 심사대상 제외 및 수상자격 박탈
※ 2019년도 수상작과 주제 및 분석방법이 겹치는 경우 심사대상에서 제외
Ⅲ. 향후 추진 일정 |
ㅇ 연구계획서 접수 : 2020. 4. 9.(목) ~ 7. 31.(금)
ㅇ 논문 접수 : 2020. 5. 23.(토) ~ 8. 31.(월)
ㅇ 논문 심사 : 2020. 9. 16.(수) ~ 10. 28.(수)
ㅇ 심사결과 발표 : 2020. 11월 초
ㅇ 우수논문집 파일 배포 : 2020. 12월 중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등록일 | 조회 |
---|---|---|---|---|
754 | R&D전략팀 | 2020-08-24 | 3466 | |
753 | 연구진흥팀 | 2020-03-18 | 3460 | |
752 | R&D전략팀 | 2020-03-02 | 3458 | |
751 | R&D전략팀 | 2019-01-17 | 3456 | |
750 | R&D전략팀 | 2020-03-19 | 3455 | |
749 | 연구진흥팀 | 2019-04-26 | 3453 | |
748 | R&D전략팀 | 2019-10-28 | 3441 | |
747 | 산학지원팀 | 2021-02-26 | 3439 | |
746 | 연구진흥팀 | 2020-02-27 | 3438 | |
745 | R&D전략팀 | 2018-06-19 | 3437 | |
744 | 기술사업화팀 | 2019-12-19 | 3436 | |
743 | 산학지원팀 | 2020-02-18 | 3436 | |
열람중 | 연구진흥팀 | 2020-05-25 | 3436 | |
741 | 연구진흥팀 | 2019-08-27 | 3435 | |
740 | 연구진흥팀 | 2020-10-20 | 3432 |